많은 회사에서 산업재해가 발생하는 경우 산재보험료가 오를까봐 걱정을 하십니다. 산재보험료가 오를까봐 걱정되어 공상처리를 고려하시는 경우도 상당히 많은데요, 이러한 경우 상당한 법률적 리스크를 안게 됩니다. 오늘은 산재보험료가 인상되는 기준을 설명드리겠습니다.
우선, 사업장 규모가 중요한 기준이 됩니다. 상시 근로자 수가 30인 미만인 사업장은 산재 처리가 산재보험료 인상에 영향을 주지 않습니다. 반면, 30인 이상인 경우에는 산재 발생 원인에 따라 보험료가 인상될 수 있습니다.
산재 발생 원인은 크게 업무상 부상, 업무상 질병, 출퇴근 재해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이 중 업무상 부상의 경우, 과거 3년간의 산재보험 납부액 대비 지급된 산재보험급여 비율이 85%를 초과할 경우 보험료가 인상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업무상 질병과 출퇴근 재해의 경우는 산재보험료 인상에 영향을 미치지 않습니다.
결론적으로, 산재 처리를 하지 않는 것이 오히려 더 큰 위험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산재가 발생하고 나면 고용노동부에 산재가 발생했다는 신고를 해야하는데, 이 신고를 하지않고 은폐하였다면 형사처벌과 과태료 부과 대상이 됩니다.
업무 중에 발생하는 사고는 산재뿐만 아니라 산업안전보건법, 중대재해처벌법상 조사 및 신고의무와 연관이 있으므로, 정확한 정보를 바탕으로 차분하게 대처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본 뉴스레터는 노무법인 가치의 자문을 바탕으로 일반적인 노동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작성되었습니다. 특정 사안에서 법률적 판단이나 권리주장을 위한 자료로 사용될 수 없으며, 이로 인한 결과에 대해 책임지지 않습니다. 정확한 법률 자문이 필요하신 경우에는 저희 노무법인의 전문가와 상담하시기 바랍니다.